임신의 어려움 1차 기형아 검사 결과 공유 및 양수 검사 솔직후기

2023년 09월 11일 by 다운로드 다운로드

▶ 목차 펼치기

    임신의 어려움 1차 기형아 검사 결과 공유 및 양수 검사 솔직후기

    임신출산육아 이야기임신일기 1. 임신 11주 임신 11주가 되었어요. 임신 확인한게 8월인데 벌써 10월이 되었네요.이번주만 지나면 임신기 단축근무가 끝이 납니다. 11주 6일까지에요.편안한 출퇴근시간을 알차게 보내야 해요. 현실은 체력이 달려서 별것도 못하지만요. 초기보단 걱정도 많이 줄었고, 입덧도 어느정도 적응이 되었으니 이제 제 몸을 잘 챙겨봅니다. 엽산은 임신전부터 빠짐없이 먹고있고, 수치가 낮게 나온 비타민D도 3,000 IU 씩 꾸준히 먹고있어요. 유산균도요.잘 먹진 못하지만 잘자고 마음이 편한지 뭔가 몸이 넉넉해지는 느낌이 들었어요.기존에 입던 속옷이나 바지 등을 입으면 갑갑함이 느껴져서 임부 의류를 찾아보기 시작합니다.

     

     

    임신의 어려움 1차 기형아 검사

    1차 다운증후군 선별검사 목덜미 투명대 두께 검사

    11주 6일차 병원 검진 기록. 1차 다운증후군 선별검사가 있는 날. 맘카페 닮은 주차 게시판에 글들을 보다보면 목덜미 투명대 검사에서 고위험군이 나온 이야기들이 참 많아서. 은근히 걱정과 긴장이 되었습니다. 산부인과 대기실에서 이름이 호명되길 기다리는데 괜시리 심장이 두근두근 다운증후군 선별검사는 1차와 4주 후 2차가 진행되는데, 1차에서 피검사와 목덜미 투명대 검사 외 등등 초음파 검사, 그리고 2차에서 또 한차례의 피검사가 진행되며, 1,2차가 모두 끝난 후에 통합 결과를 4~5일 후에 문자로 안내받게 됩니다.

    목두께 투명대검사는 초음파 검사로 진행되므로 초음파를 보며 결과를 바로 알 수 있음 초음파가 시작되자마자 목덜미 투명대 부터 재 주시는. 꿀잠이의 NT 목덜미 투명대 두께는 1.09mm 너무 양호했다.

    1차 다운증후군 선별검사 목덜미 투명대 두께

    확진검사 검사법은 융모막 융모검사와 양수검사

    확진검사는 99.9로 자세한 검사법이지만, 선별검사와 달리 태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검사입니다. 때문에 의사가 처음부터 선별검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기간을 두고 2번의 검사를 하는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보통 1차때 융모막 융모 검사, 2차 때 양수검사를 합니다. 융모막 조직이란 태반 조직이라 태아와 거의 닮은 염색체 구성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임신초기인 911주 사이에만 할 수 있고, 그 결과도 양수 검사 보다.

    빨리 알 수 있습니다. 허나 말씀드렸듯이 검사가 기본적으로 1, 2차로 나뉘어져 있고 2차에서 위험군으로 분류된다면, 선택권 없이 양수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양수검사는 말 그대로 양수를 채취하여 그 속에 있는 유전자 정보를 정밀 탐구하는 겁니다.

     



    2차 기형아검사 진료 내용

    저는 첫째와 둘째 모두 16주 차에 2차 기형아검사를 했습니다. 보통 임신 16주차에 예약을 잡아주시는 것 같습니다. 채혈 전에 원장님과 진료실에서 초음파를 봅니다. 4주 만에 만나는 콩콩이는 쑥쑥 자란 모습이었습니다. 손가락을 빠는 듯한 모습을 볼 수 있어서 너무 신기했습니다. 이제는 갈비뼈의 모습도 선명하게 잘 보입니다. 앞모습은 흠칫, 원장님 설명에 눈, 코, 입을 알아보았습니다. 아마 임신 전이었다면 이 사진이 뭘까 짐작도 못했을 듯합니다.

    머리둘레도 주수에 맞게 잘 자라고 있습니다. 배둘레도 주수에 맞게 잘 자라고 있습니다. 다리길이도 주수에 맞게 잘 자라고 있습니다.

    확진검사라고 해서 지레 겁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간혹 1,2차 선별검사 후 고위험군으로 분류되거나 위 경우처럼 목두께가 두꺼워서 확진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첫번째 지금 검색을 통하여 글을 읽고 계시는 분이 계시고, 그런 경우에 속합니다. 하더라도 최종의, 최종까지는 그리 긴장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우선 당장 목두께는 태아의 자세나 측정방식에 따라 오류가 있었을 수가 있습니다.

    얼마든지 가능한 경우입니다. 그리고 확진검사를 추가적으로 받는다. 하더라도 그야말로 그래서 다운증후군인 경우는 35밖에 안된다고 합니다.

    취약x증후군 검사?

    취약x증후군 검사는 사실 이날 처음 듣는 기형아검사였다. 너무 생소해서 급하게 검색해보고 소개를 들어보니, 취약x증후군 검사는 정신지체, 자폐증같은 정신질환에 관한 기형아검사로 딸아이 보다는 아들의 경우에 더욱 더 필요한 검사다. 비용은 10만원정도가 추가되는데, 나는 굳이 유전력도 가족력도 없어서 따로 검사를 받지는 않았습니다. 이 취약x증후군 검사는 첫째검사 1번만 하면 그 다음부터는 검사 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1차 다운증후군 선별검사 목덜미 투명대 두께

    11주 6일차 병원 검진 기록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확진검사 검사법은 융모막 융모검사와

    확진검사는 99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확진검사 검사법은 융모막

    저는 첫째와 둘째 모두 16주 차에 2차 기형아검사를 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